본문 바로가기
사회

하이테크벨리 폐기물비상대책위, 청주하이테크벨리공단 폐기물처리시설 매립장 조성 결사반대!

by 청주일보TV 2022. 7. 20.
728x90
반응형

 

【청주일보】 박창서 기자 = 하이테크벨리 폐기물처리시설 설치 저지 비상대책위원회는 20일 오전 10시 청주임시청사 앞에서 청주 하이테크벨리 공단 폐기물 처리시설의 매립장 조성을 결사반대하는 기자회견을 가졌다.

【청주일보】 하이테크벨리 폐기물처리시설 설치 저지 비상대책위원회는 청주임시청사 앞에서 청주 하이테크벨리 공단 폐기물 처리시설의 매립장 조성을 결사반대하는 기자회견을 가졌다.. 박창서 기자

이들은 강내·동막일원 하이테크벨리공단조성사업에서 강내 다락리와 동막동을 일원으로 하는 청주 하이테크벨리 30만평 공단조성사업장 내에 조성되는 폐기물 처리시설이 매립장으로 확정되면서 동막동과 강내주민들의 건강하고 쾌적한 환경이 파괴되고 각종 발암물질이 지하수 및 공기질을 떨어트리고 주민들의 생존권마저도 내몰리고 있다고 말했다.

하이테크벨리공단은 공단조성법에 따라 10만평 이상일 경우 공단자체폐기물을 처리하는 목적으로 정부에서 폐기물처리장을 인가해주고는 있으나 의무사항이 아님에도 이시종 전충북도지사가 심의하고 한범덕 전청주시장이 인허가했다고 알렸다.

1차 주민설명회 때 하이테크벨리공단 조성사업시행사 삼양건설이 용지매입을 위해 용역을 준 효성토지보상대표 김효정이 동막2구 마을회관에서 주민설명회를 할 때 절대 폐기물처리장은 없다고 설명했고 그 이후 폐기물에 관련한 주민설명회는 없었다라고 전했다.

그 후 청주시에 문의한 바 시행사 삼양건설에서 현재 폐기물처리장용지를 유보지로 표시해 주민들이 알아볼 수 없게 진행하다가 22년 6월 24일 오후2시 강내농협 3층 회의실에서 주민들에게 도시관리계획결정 변경안을 설명하면서 슬쩍 폐기물 처리장으로 결정했다고 강조했다.

인근 주민들의 생존여부가 달려있는 중차대한 사항을 주민설명회 없이 허가를 받았다는 이유로 진행한다면 사업승인을 허가해준 청주시와 심의해준 충북도부터 폐기물 처리장으로 해야 할 것이며, 공단 인근 주민들의 생사가 달린 문제로 한 목소리로 궐기하고 나서서 폐기물 처리장 설치를 저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폐기물처리장이 들어오면 안되는 이유로

▲ 삼양건설은 공단조성사업의 시행사로 용지를 매입해 시공업체를 선정하고 발주하면 시공업체는 토목공사 후 공단이 조성되면 용지를 공단입주희망사업자에게 공단용지를 매각하는데 폐기물 처리업체가 폐기물 처리장용지를 일반 공장용지보다 비싼 가격으로 매입하면 업체는 자체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뿐만 아니라 전국폐기물을 매립할 수 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자체 폐기물처리를 허가해 준 목적과는 다르게 폐기물처리장 관련법에 자체 폐기물만을 처리한다는 내용이 없어 전국 어디서나 올 수 있는 것으로 강내면과 동막동지역은 폐기물 천국이 되는 것이라고 밝혔다

▲ 일반 폐기물처리장도 체적(부피)를 줄이기 위해 소각해 소각재를 매립하면 더 많은 양의 폐기물을 매립할 수 있어 1급 발암물질인 다이옥신과 벤젠, 페놀 등이 농축돼 공기 중으로 비산하고 매립장 침출수 유출로 토양과 지하수가 오염되며 그 지하수로 농사짓는 농작물을 섭취하는 주민들은 2차, 3차 피해를 입어 나도 모르는 사이 각종 암이나 병질환에 시달리다 죽어간다고 알렸다.

▲ 매립장 설치 업체의 말에 의하면 지붕을 돔 형식으로 바닥은 견고한 비닐루핑 처리하면 침출수는 한방울도 새지 않는다고 하는데 이는 새빨간 거짓말로 침출수나 공기 중으로 오염되지 않을 리가 없다고 강조했다.

예를 들면 폐석면광산 주변에 또 폐기물처리장이 많이 분포된 북이면 일대에 암발생 환자들이 많다는 소식은 모든 매스컴을 통해서 들어 주민들은 목숨을 걸고 이 폐기물처리장을 없애야 하는 것이라고 피력했다.

이에 주민들의 요구가 법을 위반하는 것이라고 한다면 십분양보해 1만평 규모의 폐기물 매립장을 1천평으로 축소해 공단의 정가운데로 이전하고 이것 또한 외부폐기물의 반입을 원칙적으로 막고 이를 항시 주민들이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청주시가 나서서 폐기물 처리업체와 협의 줄 것을 호소했다.

이를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강내주민과 동막동 그리고 인근 주민들, 흥덕구 주민들까지 일제히 궐기하여 주민들의 생존권을 무시하는 청주시와 삼양건설을 쳐 부수어야 주장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