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티시너지, 세브란스병원 등과 산업통상자원부 국책과제 수행
글로벌 최초 ‘AI 활용 생균 치료제’ 상용화 도전
【청주일보】 김정수 기자 = 충북테크노파크 입주기업인 ㈜비티시너지(대표 조희경)가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등 국내외 유수 연구기관과 협력해 마이크로바이옴 기반의 세계 최초 생균 치료제 개발에 본격 착수했다.

마이크로바이옴은 인체 내 미생물(microbe)과 생태계(biome)의 합성어로, 사람 몸속에 존재하는 다양한 세균과 바이러스 등의 미생물을 통칭한다.
최근에는 이를 활용한 치료제 개발이 난치성 질환의 새로운 해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비티시너지는 산업통상자원부 국책과제인 ‘난배양성 균주 분리·배양과 오믹스 분석기술을 통한 대사산물 발굴 및 파마바이오틱스 소재 개발’의 주관기관으로 선정돼 본격적인 연구에 착수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에는 총 87억 원(국비 포함)의 연구비가 투입되며, 분당서울대병원, 고려대 의료원, 미국 메사추세츠 종합병원, 숙명여대, 원광대, 국립 강릉원주대, ㈜마크로젠 등이 공동 연구기관으로 참여한다.

연구진은 50종 이상의 장내 미생물 균주를 확보하고, 이들로부터 10종 이상의 유효 대사체를 발굴해 휴먼 마이크로바이옴 기반의 신약급 생균 치료제(LBP)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번 프로젝트는 50개 이상의 장내 미생물 균주를 확보해 10개 이상의 대사체를 발굴하는 방식으로 휴먼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신약)를 개발하는 게 목표다.
사업은 1단계(25∼27년)와 2단계(28∼29년)로 나눠 진행되며, 1단계는 세브란스병원이, 2단계는 비티시너지가 각각 주관한다.
최종 목표는 2030년까지 치료제 상용화를 이루는 것이다.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는 살아 있는 균주를 활용한 생균 치료제(LBP)와 이들이 만들어낸 대사체로 분류되는데, 세계적으로 인허가 사례가 4건에 불과할 만큼 아직은 첫걸음을 떼는 단계다.
현재까지 세계적으로 인허가된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는 단 4건에 불과하며, 이 중 3건은 클로스트리듐 디피실균 감염증(CDI) 치료제다.
유일한 생균 치료제로 알려진 스위스 Progefarm社의 제품조차 신약으로 평가받지 못하는 등, 아직은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다.

비티시너지는 그간 20여 종의 난치성 질환을 타깃으로 마이크로바이옴 연구를 수행하며, 난배양성 균주의 분리 및 대량 배양기술, 그리고 오믹스 기반 대사체 분석기술을 축적해 왔다.
이를 바탕으로 병원·대학·기업을 연결하는 오픈 이노베이션 생태계를 구축해 기술 경쟁력을 확보했다는 평가다.

문종국 비티시너지 연구소장은 “마이크로바이옴은 난치성 질환을 극복할 핵심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으며, 특히 난배양성 미생물 자원 자체가 글로벌 경쟁력이 되고 있다”고 밝혔다.

1단계 연구를 주관하는 세브란스병원의 고홍 교수 또한 “마이크로바이옴이 건강과 질병에 미치는 영향이 속속 밝혀지면서, 이를 활용한 치료제 개발과 시장 규모 모두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비티시너지는 앞으로 자체 구축한 AI 분석 플랫폼 ‘미네르바(MINERVA)’와 시공간 다중 오믹스 기술을 바탕으로 11종의 주요 난치성 질환에 대한 생균 치료제 및 대사체 개발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운천 주공 재건축정비사업조합 정기총회 열려ㅡ 백승호 조합장 연임 (0) | 2025.04.21 |
---|---|
화물연대 충북지역본부, "오리온제과·KLP 규탄 노동탄압주당해고 원직복구 촉구" (0) | 2025.04.21 |
영동양수발전소 착공, 충북 에너지 전환의 신호탄 (0) | 2025.04.17 |
충북 청주시, 음식물쓰레기 줄이면 최대 4천원 청주페이로! (0) | 2025.04.17 |
경북 안동시 산불피해 ‘마음을 헤아리다’.ㅡ 한국부인회, 성안길 상인회,청주개인택시지부 (0) | 2025.04.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