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견기업 진입 유예기간 확대
개정안, 중소기업 → 중견기업으로 진입 시 5년간 경영상 부담 완화
윤석열 정부의 국정과제···중견기업 진입 유예기간 확대, 국회 본회의 통과
매출 감소에 따른 중소기업 회귀 기업 연간 60~90개 수준...‘피터팬 증후군’ 해소 기대
【청주일보】 김정수 기자 = 국민의힘 정우택 의원(국회부의장, 청주 상당구)은 중소기업을 졸업한 중견기업이 중소기업과 같은 혜택을 받는 유예기간을 5년으로 확대하는 내용의 "중소기업기본법 일부개정법률안(원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고 25일 밝혔다.

현행법은 중소기업이 그 규모의 확대 등으로 중소기업에 해당하지 아니하게 된 경우에도, 그 다음 연도부터 3년간은 기존에 중소기업으로서 누리던 각종 지원 및 조세특례와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그 지위를 유예하고 있다.
그러나 3년의 유예기간 종료 후 중소기업에 지원되는 금융지원, 조세 혜택 등 각종 혜택이 중단된다.
이에 따라 중견기업에서 중소기업으로 회귀하고자 하는 일명‘피터팬 증후군’ 현상이 극심해지는 등 3년의 유예기간도 중견기업으로 적응하는 데 부족하다는 목소리가 높았다.
개정안을 통해 중소기업의 중견기업 진입 유예기간을 현행 3년에서 5년으로 연장함으로써, 성공적인 중견기업 안착을 지원하는 것은 물론 중견기업 수 증가에 도움을 줄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중소기업의 중견기업 진입 유예기간 확대는 기업 성장 저해 걸림돌을 제거하기 위한 윤석열 정부의 국정과제이기도 하다.
실제 중견기업에서 중소기업으로 회귀한 사업체는 ‘17년 40개사, ’18년 68개사, ‘19년 66개사, ’20년 85개사, ‘21년 92개사에 달한다.
또한 중소기업으로 회귀한 기업중 중소기업 졸업 유예기간 3년을 경과해, 중견기업 진입 1~2년차인 기업이 56%로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정 의원은 "이번 개정안을 통해 성공적인 중견기업 안착은 물론, 중소기업의 성장을 적극 유인·견인해 우리나라 기업의 구조적 체질 개선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법안 통과 취지를 설명했다.
'정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 3지대 신당 '새로운미래' 충북도당 창당 대회ㅡ "양당이 짜고 방탄 정국으로 몰고 간다" (1) | 2024.01.29 |
---|---|
27일, 나라사랑공생시민운동본부 충북지부 발대식 및 국회 개혁 촉구 성명서 발표 (1) | 2024.01.27 |
【5분발언】 충북도의회 안치영 의원 ㅡ 충북도 산하기관의 장애인 고용 확대 촉구 (1) | 2024.01.23 |
【5분발언】 충북도의회 김현문 의원 ㅡ 충북도·교육청에 지역공동체 정책 주문 (1) | 2024.01.23 |
【5분발언】 충북도의회 박지헌 의원 ㅡ “충북도·교육청 철저한 용역 관리 필요” (0) | 2024.01.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