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 핵심선도+생태계 강화”전략, 12대 중장기프로젝트 추진으로 중부권 거점 확고히
【청주일보】 김정수 기자 = 충북도는 10일 오전 11시 충북도청 브리핑룸에서 지역 주력산업인 반도체산업 육성을 위해 지역 산업여건을 고려해 2031년까지 추진할 중장기 프로젝트 중심의 “충북 반도체산업 육성 전략 2.0”을 수립했고 발표했다.
도는 지난 해 10월 충북도가 발표한 “충북 반도체산업 육성 전략”을 바탕으로 세부과제를 구체화한 것이라고 말했다.
![](https://blog.kakaocdn.net/dn/EtkG1/btsxrYbV7Ho/fAKO3bI0QLVPtjf58wLf7K/img.jpg)
충북도는 SK하이닉스, DB하이텍, 네패스 등 반도체 가치사슬 별 선도기업 및 관련 소부장기업이 집적해 비수도권 최고 수준의 산업 경쟁력을 갖추고 있으나, 최근 수도권 중심 투자 및 반도체 경기침체 등으로 반도체산업 육성에 애로를 겪고 있다.
이에 충북도는 "충북 반도체산업 육성 전략 2.0"을 바탕으로 미래 반도체 선도 분야 육성 및 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해 행정 역량을 결집하고 있다.
첨단 메모리반도체, 시스템반도체 후공정, 차세대 화합물반도체, 미래선도형 반도체 등 4대 핵심선도 분야를 육성하고, 관련 생태계를 공고히 하고자 2031년까지 추진될 12대 중장기 프로젝트를 수립했다.
![](https://blog.kakaocdn.net/dn/bgzIJf/btsxvFv0cCH/tS6v0IPaGGz8YTblj993TK/img.jpg)
우선 첨단 메모리 반도체 분야에서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①충북도의 대표 메모리반도체 기업인 SK하이닉스를 중심으로 “첨단 메모리팹단지”를 조성하고,
②도내 반도체 특수가스 산업기반을 바탕으로 관련 기업 투자 유치와 반도체가스 성능평가센터 구축을 통해 국내에서 손꼽히는 “반도체가스 특화 클러스터”를 조성할 계획이다.
![](https://blog.kakaocdn.net/dn/cbZ2j0/btsxH0maVf0/zhYNK8U617s2j3r6fujkDK/img.jpg)
아울러, 반도체 생산에 있어 미세공정을 통한 집적화에 한계에 봉착하면서 더욱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반도체 후공정과 관련해서는 국가 차원의 클러스터 조성을 추진한다.
③“반도체 패키징․테스트 종합지원 거점”을 구축하고,
④정부의 정책동향을 면밀히 파악하면서 올해 지정된 이차전지 첨단전략산업특화단지에 이어 반도체 패키징에 특화된 첨단전략산업특화단지 지정을 추진한다.
전기차 시장 확대와 함께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화합물반도체와 관련해서는 중부권 생산 거점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전략을 추진한다.
⑤도내 DB하이텍, 파워마스터반도체 등 화합물 전력반도체 관련 선도기업과 이와 관련된 소부장 기업, 차세대 전력반도체 실증센터 등을 집적한 “화합물반도체 특화산업단지” 조성해 나갈 것이다.
![](https://blog.kakaocdn.net/dn/Hc0i1/btsxq4DvhWp/eR2iFKJi12C04vXYtYRba1/img.jpg)
한편, 상대적으로 도내 경쟁력이 취약한 AI 등 미래형 반도체와 관련해서는 우선 선도기업을 육성하기 위해
⑥현재 추진되고 있는 ‘인공지능(AI) 시스템반도체 융합연구센터’사업에 더해 기술이전 및 창업지원, 벤처단지 조성 등을 연계한 “인공지능반도체 응용산업 집적단지”을 조성하는 한편,
⑦기업의 미래 유망기술 관련 연구개발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한국전자기술연구원과 협력하여“첨단 반도체 선도기술개발 사업”을 추진한다.
이와 함께 ⑧첨단 센서반도체 연구개발(R&D) 거점 조성, ⑨반도체 혁신기관 유치, ⑩한국 첨단반도체 기술센터 유치,
⑪반도체 공유대학, ⑫반도기업 국제화 경쟁력 강화 등의 사업 추진을 통해 첨단 반도체 연구개발 역량 강화 및 전문인력 양성 추진체계를 마련해 ‘완성형의 반도체 산업 생태계 조성’을 체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한편, 충북도는 보다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프로젝트로서 최근 인공지능(AI)의 핵심 부품으로 부각되고 있는 고대역폭메모리(HBM3) 생산라인을 SK하이닉스 청주M15에 셋업시 적극 지원한다.
고대역폭메모리(HBM)는 2013년 SK하이닉스가 업계 최초로 개발한 초고속 메모리반도체로 현재 SK하이닉스가 세계 1위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인공지능(AI) 시장 성장과 더불어 폭발적 수요 증가가 예상된다.
HBM(High Bandwidth Memory)는 인공지능(AI) 등 고성능 컴퓨팅에 특화된 고효율, 고용량, 초고속 메모리 반도체를 말한다.
충북도는 SK하이닉스 HBM3생산시설 셋업시 지원을 위한 청주M15공장관련 신속 인허가 지원 TF팀을 청주시, 한국전력공사 등과 함께 운영하고, 반도체 공장 가동을 위한 필수 인프라인 전력, 공업용수 공급 등 제반 시설 지원에도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아울러, 2019년 4월 15일 충북도와 SK하이닉스간 체결된 M17신규팹 부지 제공 협약에 따른 489,256㎡(14만 8천평) 규모의 부지 조성, 반도체 필수 전력설비인 345kV신청주변전소 신설, 대규모 공업용수 공급 방안 수립 등을 차질없이 추진해
향후 반도체 업황 변화와 함께 SK하이닉스의 투자 결정이 이뤄질 경우 신규 팹이 즉시 착공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현 정부의 지역균형발전 핵심사업인 기회발전특구 제도를 활용해 반도체 앵커기업의 투자를 파격적으로 지원하고 기업 투자를 가로막는 규제 완화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https://blog.kakaocdn.net/dn/d2sm8B/btsxsnCDq9P/vOXMApLlOpohhGFhtnACs0/img.jpg)
김명규 충북도 경제부지사는 “우리 충북이 우리나라 반도체 산업의 중부권 핵심 거점 역할을 지속할 수 있도록 대규모 정부 지원을 이끌어 내는 한편,
기업과의 실질적인 협력체계 구축, 대규모 투자 유치, 체계적인 인력 양성, 반도체 혁신기관의 유치 등의 전방위적인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 "충북 반도체산업 육성전략 2.0" 브리핑
오늘은 충북의 대표 먹거리 산업인 반도체 산업의 전략적 육성을 위한 "충북 반도체산업 육성전략 2.0"과 함께 SK하이닉스의 고대역폭메모리반도체(HBM)의 생산시설 투자 유치와 관련하여 브리핑해 드리고자 합니다.
지난해 10월 우리도는 충북 반도체산업 육성 전략을 발표한 바 있습니다.
이번에 설명드리는 "충북 반도체산업 육성전략 2.0"은 지난해 발표한 반도체 육성 전략과 연계하여 최근 반도체 산업 동향과 지역 여건을 고려하여 중장기 프로젝트 중심으로 보다 구체화한 것입니다.
우리도는 충북이 중부권 반도체 생산 거점으로서의 지위를 보다 확고히 하기 위해 4대 핵심 선도 분야 육성 및 생태계 강화 프로젝트를 2031년까지 체계적으로 추진할 계획입니다.
4대 핵심 분야는 향후 시장가능성이 큰 첨단 메모리반도체, 시스템반도체 후공정, 차세대 화합물반도체, AI 등 미래선도형 반도체이며 이와 관련해 12대 중장기 프로젝트가 집중 추진될 것입니다.
먼저첨단메모리 반도체 생산 거점으로서 글로벌 경쟁력을 한층 강화하기 위해
① 충북의 대표 메모리반도체 기업인 SK하이닉스를 중심으로 “첨단 메모리 팹단지”를 조성하고,
② 우리도가 이미 확보하고 있는 반도체 특수가스 산업 기반을 토대로 추가 기업 투자를 유치하고, 반도체가스 성능평가센터 등을 구축하여 국내에서 손꼽히는 “반도체가스 특화 클러스터”를 조성하겠습니다.
반도체 제조 과정에서 있어 미세공정, 추가적인 집적화에 기술적인 한계가 부각되면서 그 중요성이 더욱 대두되고 있는 후공정과 관련해서는 국가 차원의 산업 클러스터 조성을 추진하겠습니다.
③ 네패스, 심텍 등 도내 첨단 후공정 서비스 기업(OSAT)과 관련 소부장 기업의 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해 패키징과 테스트에 집중하여 관련 인프라를 집중 유치하는 “반도체 패키징․테스트 종합지원 거점”을 구축하는 한편,
④ 중앙정부의 정책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면서 이차전지에 이어 반도체 패키징에 특화된 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추가 지정을 추진할 것입니다.
또한, 전기차 시장 확대와 함께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화합물반도체의 생산거점이 우리 도에도 확고히 구축될 수 있도록
⑤ 도내 DB하이텍, 파워마스터반도체 등 화합물 전력반도체 관련 선도기업과 관련 소부장 기업, 차세대 전력반도체 실증센터 등을 집적한 “화합물반도체 특화산업단지”를 조성하겠습니다.
아직 상대적으로 도내 경쟁력 기반이 취약한 AI 등 미래선도형 반도체와 관련해서는 우선 선도기업 육성을 위해
⑥ 현재 126억원을 투입하여 진행 중인 ‘인공지능(AI) 시스템반도체 융합연구센터’ 사업에 더해 기술이전 및 창업지원, 벤처단지 조성 등을 연계한 “인공지능반도체 응용산업 집적단지”를 조성하고,
⑦ 기업의 미래 유망기술 연구개발 역량을 한층 강화하기 위해 한국전자기술연구원과 협력하여 “첨단 반도체 선도기술개발 사업”을 추진하겠습니다.
또한, ⑧ 첨단 센서반도체 연구개발(R&D) 거점 조성, ⑨ 반도체 혁신기관 유치, ⑩ 한국 첨단반도체 기술센터 유치, ⑪ 반도체 공유대학, ⑫ 반도체 기업 국제화 경쟁력 강화 등을 추진함으로써 첨단 반도체 연구개발 역량 강화와 함께 보다 정교한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촘촘한 ‘반도체 산업 생태계’가 조성될 수 있도록 관련 정책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겠습니다.
다음으로 보다 직접적이고 구체적이며 가시적인 성과를 거양하기 위해 SK하이닉스 청주 공장에 고대역폭메모리(HBM)의 생산라인을 유치하고자 합니다.
*HBM : High Bandwidth Memory
SK하이닉스가 고대역폭메모리 생산라인 확충을 본격적으로 추진하는 동향이 확인되고 있는 만큼 우리도는 SK하이닉스 청주 M15에 관련 시설이 증설될 수 있도록 SK하이닉스 측과 긴밀히 소통하는 한편
도, 청주시, 한국전력공사 등 유관기관이 참여하는 TF팀을 운영하여 관련 인허가 등을 신속하게 처리해 나가겠습니다.
AI의 발전과 함께 관련 반도체의 수요도 급증할 것으로 예상될 뿐만 아니라, 낸드플래시 중심으로 생산 시설이 구축된 청주 공장에 향후 발전가능성이 큰 최첨단 DRAM 관련 생산라인이 추가된다는 점에서 우리도의 반도체 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M15내 증설에만 그치지 않고 향후 M17의 신규팹 부지에 대한 조속한 투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만반의 준비를 갖추겠습니다.
기존에 계획된 14만 8천평 규모의 대규모 부지 조성, 345kV 신청주 변전소 준공, 대규모 공업용수 공급 등 관련 인프라 구축을 차질없이 추진함으로써 반도체 업황 변화와 함께 SK하이닉스의 투자 결정이 이루어질 경우 언제든지 착공이 가능할 수 있도록 미리미리 준비해나갈 계획입니다.
아울러 향후 반도체 기업의 투자와 관련해서는 현 정부 지역균형발전 관련 핵심사업인 기회발전특구 제도를 적극 활용하겠습니다.
현 정부에서는 용인 등 수도권을 중심으로 반도체 관련 대규모 프로젝트가 추진되고 있으나, 기회발전특구는 비수도권을 중심으로 운용되는 만큼 충북만의 경쟁력 있는 대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반도체 앵커기업의 투자에 대해 파격적인 인센티브를 지원하는 한편, 기업이 제기하는 규제 문제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해결책을 모색하여 충북만의 경쟁력을 갖추어 나갈 것입니다.략 2.0」브리핑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주시 사직동 사모2구역 재개발정비사업조합 시공사 선정 등 2023년 임시 총회 개최 (1) | 2023.10.16 |
---|---|
충북 제천시 · 충북개발공사, 제천 제4산업단지 투자 협약 체결 (1) | 2023.10.12 |
충북도내 10개 기업, 베트남·태국 무역사절단 큰 성과 (0) | 2023.10.04 |
오송 철도클러스터 국가산업단지 조성 탄력 (0) | 2023.09.21 |
충북 청주시, 미래산업도시 도약 위한 마중물 예산 마련 (0) | 2023.09.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