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환 충북도지사, 민선8기 반환점 맞아 전반기 성과와 후반기 도정운영방향 발표
<iframe width="853" height="480" src="https://www.youtube.com/embed/AEuHFlwjymo" title="[실시간 LIVE ] 김영환 충북도지사 민선8기 전반기 도정과 후반기 도정운영 방향 설명"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web-share" referrerpolicy="strict-origin-when-cross-origin" allowfullscreen></iframe>
중부내륙특별법 제정, 브랜드 파워 강화, 혁신적 복지 정책 성과 등 주요 성과 발표
【청주일보】 김정수 기자 = 김영환 충북도지사는 1일 오전 10시 30분 충북도청 브리핑룸에서 민선 8기의 반환점을 맞아 지난 2년간의 성과와 후반기 도정 운영 방향에 대해 소회를 밝혔다.

김 도지사는 전반기 2년 동안 아쉬운 점과 개선할 과제가 있었지만, 가시적인 성과가 있었다고 말했다.
가장 큰 성과로는 "중부내륙연계발전지역 지원에 관한 특별법"의 제정을 꼽았다.
이 법은 지난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해 지난 달 27일 본격 시행됐으며, 바다가 없는 충북도의 소외 문제를 해결하고 중부내륙지역의 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기적 같은 성과라고 평가했다.
충북도의 정체성을 새롭게 정립하기 위한 노력도 가졌다.
충북도의 새 이름(BI) "중심에 서다"가 지난해 국가브랜드 대상에 선정되며 브랜드 파워를 입증했고, 도지사 집무실 축소, 의료비 후불제 도입, 도시농부 프로그램 등 혁신적인 사업들이 성공을 거두며 대한민국의 롤모델로 자리매김했다.
또한, 출산육아수당 1000만원 지급, 전국 최초 난자 냉동 시술비 지원 등의 출산 친화 정책으로 전국 출생아수 증가율 1위를 기록했다.
투자유치 목표도 초기 60조원에서 51조원을 달성한 후, 100조원으로 상향 조정했으며, 정부예산 8.8조원을 확보해 9조원 시대를 눈앞에 두고 있다.
충청권 광역급행철도(CTX) 민자사업 추진으로 지하철 시대가 열릴 것으로 기대되며, 상수원관리규칙 개정으로 청남대가 국민 명소로 거듭날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 외에도 의대 정원 전국 최대 증가, 글로컬대학30 충청권 유일 선정, 하계세계대학경기대회 유치 등 도민 행복과 충북 발전을 위한 다양한 성과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김영환 도지사는 후반기에도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도민 행복과 충북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김지사는 "전반기 2년 동안 많은 성과에도 불구하고 아쉬운 점도 있었다"며, "절차와 규제에 가로막혀 도민들이 체감하지 못한 부분들을 반성하고, 저출생 및 고령화 시대 돌봄과 정주여건 개선 등 앞으로 나아가야 할 길이 멀다"고 밝혔다.
김지사는 지난해 7월 집중호우로 인한 제방 붕괴와 지하차도 침수로 도민의 생명을 잃은 사건을 언급하며, 도민의 안전을 책임지는 도지사로서 큰 아픔이라고 한탄했다.
민선 8기 후반기 도정 운영 방향의 핵심은 전반기에 추진한 다양한 사업을 구체화하고, 첨단 제조업 중심의 경제 성장에서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서비스 산업을 집중 육성하는 것이다.
또한, 안 쓰고 버려진 공간을 업사이클링하여 새로운 랜드마크를 창조하고, 디지털 대전환 시대에 맞춰 도민들이 일상 속에서 AI 등 디지털 기술을 활용할 수 있게 할 방침이다.
민선 8기 후반기는 기존의 5개 도정 목표에 안전과 미래를 추가한 ‘5+2체계’로 운영된다.
▲ 경제를 풍요롭게
급변하는 경제환경에 대응해 소상공인 및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고, 경영안정 자금과 온라인 판로 개척 등을 통해 자생력을 키움으로써 민생경제를 뒷받침할 계획이다.
첨단 제조업 중심에서 교육, 의료 등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서비스 산업으로 전환하고, 벤처 및 창업 생태계를 조성한다.
▲ 문화를 더 가깝게
도립 대표도서관, 충북아트센터 등 대표 문화시설을 조속히 조성하고, 도심 유휴공간을 문화공간으로 탈바꿈하여 도민의 문화 접근성을 향상시킨다.
도청을 중심으로 원도심 활성화를 위해 주차장을 확충하고, 본관을 복합문화공간으로 조성해 시티파크를 완성할 계획이다.
방치된 유휴자원을 업사이클링하여 지역의 랜드마크로 만들고, 체류형 관광을 늘려 충북 관광 1억 명 달성을 목표로 한다.
▲ 환경을 가치 있게
친환경 자동차 보급, 도시 대기 측정망 설치 등 탄소 저감 정책을 추진해 미세먼지 농도 20%를 감소시키고, 상하수도 보급률을 높여 안정적인 물 공급 체계를 갖추며, 잘 보존된 자연경관과 산림자원을 활용한 마운틴 파크를 실현한다.
▲ 복지를 든든하게
결혼, 임신, 출산, 육아 등 전 주기에 걸친 꼼꼼한 지원과 빈틈없는 돌봄 환경을 조성해 저출생․인구 위기 극복에 대응한다.
수요자 중심의 두터운 복지 안전망을 구축해 사각지대 없는 복지를 실현하며, 거점 병원의 시설․장비를 확충하고, 취약지 의료환경을 개선하며, 의료비 후불제 대상을 확대해 공공보건의료 환경을 조성한다.
▲ 지역을 살맛나게
청주공항을 중심으로 천안청주공항 복선전철, 충북선 철도 고속화 등이 신속히 완료될 수 있도록 추진하고, 청주공항김천 일반철도, 동부축 고속도로와 서부축 고속화도로 등을 국가 계획에 반영해 지역 균형 발전을 이룬다.
스마트팜 단지, 귀농․귀촌 인구 초기 정착 지원 등 지속 가능한 농촌 환경을 조성하며, 인구 감소의 대안으로 K-유학생 유치 등 외국인의 유입․정착을 체계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 안전을 견고하게
전반기에 일어난 재난 사고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철저한 예방과 안전 시스템을 강화하고, 도민이 위기 상황에 대응할 수 있도록 안전 문화 교육을 지속 추진하며, 재난안전 조직 및 인력의 전문성을 강화한다.
▲ 미래를 희망차게
중부내륙특별법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한 개정을 신속히 추진하고, 청주공항을 중부권 거점 공항으로 육성해 중부내륙지역 발전의 초석을 다진다.
이차전지, 반도체 외에도 양자기술 등 신산업을 육성하고, K-바이오스퀘어를 조속히 조성하여 충북의 미래 100년 먹거리를 마련하고 충북 발전을 견인할 미래 인재를 집중 육성한다.
김영환 충북도지사는 “앞으로 남은 2년의 후반기 도정도 도민 여러분의 행복지수를 높이고, 충청북도의 위상이 바로 설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며, 민선 8기 후반기 도정 운영을 다짐했다.
충북 도민들은 이러한 도지사의 발표에 기대감을 표하며, 앞으로도 충북의 발전을 위해 도지사와 도청의 노력이 계속되기를 바라고 있다.
김영환 도지사의 리더십 아래 충북은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